- Turing Post Korea
- Posts
- Cognition의 천재들: 'Devin'으로 1조 달러 시장에 도전하다
Cognition의 천재들: 'Devin'으로 1조 달러 시장에 도전하다
수학 올림피아드 단골손님들이 2년만에 유니콘으로 만든 스타트업: 그들의 계획은?

여러분, 오랜만에 Gen AI 유니콘 시리즈에서 뵙습니다! 지난 에피소드 이후에 시간이 좀 지나기는 했죠?
오늘 에피소드에서는, ‘최초의 AI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인 Devin을 개발한 Cognition AI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 볼까 합니다.
바로 지난 주인 9월 8일, Cognition AI는 자그마치 100억 달러라는 엄청난 기업 가치로 4억 달러를 투자받았습니다. Cognition AI의 기업 스토리는, ‘수학의 천재들’, ‘극도의 집중력을 강조하는 문화’, 그리고 ‘AI 에이전트 영역에서 가장 치열했던 인수합병’ 등 매력적인 이야기들로 엮여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Cognition AI는 개발자이면서도 때로는 마치 철학자 같은 swyx(Shawn Wang)를 영입하기도 하면서, ‘AI Engineer Movement’의 중심에 자리를 잡았습니다.
Cognition이 swyx(Shawn Wang)가 Cognition에 합류한 건 아주 전략적인 카드라고 볼 수 있습니다. swyx는 AI 개발자 커뮤니티에서 영향력이 큰 인물로, ‘AI Engineer’라는 개념을 처음 대중화한 사람 중 하나입니다. ‘Code AGI’라고 불리는 그의 아이디어는, AGI를 전체적으로 추구하는 대신 코드와 소프트웨어 개발 도메인에 특화된 ‘Code AGI’를 먼저 달성하면 AGI의 20% 시간으로 80% 가치를 뽑아낼 수 있다는 주장이었습니다.
이걸 Devin에 적용하면, Devin은 그냥 멋진 데모 영상 속 AI가 아니라, 전 세계 소프트웨어 노동 시장(수조 달러 규모)을 재편할 수 있는 필연적인 기술로 재구성되는 셈이고, 개발자들이 AI를 단순 도구가 아닌 파트너로 보는 시각을 바꾸면서, Cognition의 제품을 1조 달러급 산업 표준으로 만드는 겁니다.
이 논문 덕분에 Devin은 ‘미래의 엔지니어’가 아니라 ‘지금 당장 바꿔야 할 현실’로 포지셔닝됐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해커 하우스’로 시작해서 2년도 안 된 시점에 100억 달러의 가치로 성장한 회사, Cognition AI의 스토리. 그 기원, 철학, 문화, 제품, Windsurf 드라마, 비판과 리스크, 시장, 그리고 swyx가 이 모든 걸 연결하는 이야기의 중심 축인 이유. 한 번 같이 살펴보시죠.
오늘 에피소드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룹니다:
이 모든 것의 시작: IOI 마피아
Cognition은, 어린 시절부터 천재적인 재능을 뽐내던 사람들이 성인이 되어서도 그 열정을 잃지 않고 만든 회사입니다. 어릴 때 수학 올림피아드나 프로그래밍 대회에서 시간에 쫓기면서 문제를 풀던 그 ‘에너지’를, 이제는 AI가 코드를 쓰고 작업을 수행하는 새로운 세상을 만드는 데 쏟고 있는 겁니다.
Scott Wu의 대회 영상을 보면, 문제가 화면에 띄워지자마자 답을 이야기하는 모습이 정말 놀랍습니다. Scott은 확신에 찬 목소리로 답을 말하지만, 한편으론 “이런 당연한 거에 왜 놀라지?”하는 듯한 표정을 짓곤 하기도 합니다.

어린 시절 Scott이 TV Show에서 수학 문제를 푸는 모습
Cognition AI는 2023년 11월에 공식적으로 설립됐습니다. 창립자는 Scott Wu(1997년생, 28세), Steven Hao(2014년 MIT 졸업, 약 28~29세), 그리고 Walden Yan(2020년 고등학교 졸업, 약 22~23세)입니다. 창업자들 모두 인상적인 경력을 쌓아 왔습니다:
Scott Wu: 국제 정보 올림피아드(IOI)에서 금메달 3회, MathCounts 전국 챔피언, Lunchclub 공동창립자.
Steven Hao: 2014년 IOI 금메달, MIT에서 수학과 컴퓨터 과학 전공, Scale AI의 초기 엔지니어.
Walden Yan: 가장 어린 멤버로, 2020년 IOI 금메달(약 400명 중 19위)을 따냈고, 그래프 이론과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공부를 열심히 했다고 합니다. 2024년에는 하버드를 중퇴하고 Cognition에 집중하고 있고, Thiel Fellow로 선정됐고, Cursor의 초기 엔지니어로도 활동했다고 합니다.
“우리들 중에 많은 경우는 프로그래밍과 수학 대회에서 서로를 알게 됐고, 그 후로도 계속 긴밀히 네트워킹을 하고 있었어요. 몇 년 동안 어떤 사람들은 Neuro에서 팀을 이끌거나 Waymo에서 일하거나, YC 지원을 받은 머신러닝 도구 회사를 창업하기도 했죠. 2023년 말, 마침내 함께 뭔가를 만들어보자는 결심으 하게 됐습니다.”
시작할 때부터, 창업자들은 이 업계에 두 가지의 큰 변화를 예감했다고 해요:
강화학습이 결국은 초기의 ChatGPT 같은, 단순하게 ‘모방’하게끔 하는 모델을 넘어설 것이다. 인터넷에 있는 데이터를 따라하는게 아니라, 고성능 컴퓨팅을 활용한 강화학습이 계속해서 시도하고 실패하면서 피드백을 받아서 점점 나아질 수 있다.
AI 제품은 단순히 텍스트, 문장을 완성하는 데서 끝나는게 아니라, 여러 단계를 거쳐서 추론하고 계획하고 행동하는, 진정한 에이전트로 발전해야 한다.
어쩌면 ‘코딩 에이전트’는 Cognition의 창업자들에게는 자연스러운 선택이었을 겁니다. 코딩에 능숙했을 뿐 아니라, 코드 자체가 실행, 확인, 학습이라는 피드백 루프를 제공하는 흐름이니까요.
처음엔 회사라기보다는 프로젝트, 해커톤에 참여하는 팀 같은 분위기였다고 해요. 2023년 추수감사절 무렵에, Airbnb를 빌려서 친구들과 아이디어를 짜냈는데, 첫 빌드는 ‘경쟁 프로그래밍’ 문제를 풀기 위해서 에이전틱 루프를 활용, 테스트 성능을 높이는데 초점을 맞췄다고 합니다.
구조는 계속 바뀌었죠. 처음에는 각자 자신만의 에이전트를 만들어서, 그 이름도 DevSteven, DevWalden 같은 식으로 지었었다고 합니다. 이 때는, 에이전트들이 ‘완성된 코드’만 결과물로 내놨습니다.
이후에 결정적인 순간은, 2023년 크리스마스 무렵, 프로토타입이 막혀있는 서버를 스스로 고치는 것을 본 때였다고 해요. 그 순간, 에이전트는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오류를 찾아내고 복구하고 작업을 완수하는, 진짜 파트너가 될 수 있다는 걸 느낀 거죠.
그렇게, 결국 모든 ‘Dev~’가 합쳐져서 ‘Devin’이 탄생했습니다.
그리고 2024년 3월, Cognition은 비밀리에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데모 영상에서, Devin은 계획을 세우고, 문서를 찾아보고, 코드를 작성하고 테스트한 다음, GitHub에 Pull Request를 올리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그들의 주장은, ‘Devin은 사람의 도움이 없이 실제 작업을 해냈다’는 거였습니다. 그리고 핵심 메시지는, swyx가 2023년 6월 30일 Latent Space의 포스트 The Rise of the AI Engineer에서 심은 씨앗에서 나온 것이었습니다: Devin이 얻은, 바로 “최초의 AI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라는 타이틀이 그것입니다.
‘사람’ 프로그래머들의 검증에 바로 맞닥뜨리다
Devin의 출시, 순식간에 화제가 됐습니다. 수백만의 조회수를 기록하면서 개발자 커뮤니티에서 열띤 논쟁이 벌어졌죠: 과연 Devin이 정말 ‘최초의 AI 엔지니어’가 맞나?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은 이제 끝장난 걸까?
4월 6일, swyx가 다시 나섰습니다. “써보지도 않은 사람들 말은 무시하세요”라고 긴 트위터 포스트 하나, 그리고 후속 글을 남긴 swyx는 Devin과 함께 Swift 코드를 앱스토어에 배포하고, React를 Svelte로 포팅하고, Elixir 게임을 다뤄본 경험을 공유했어요. 그의 평가는 “느리고, 비용이 많이 들고, 디자인은 서툴고, Git 다루는 데도 약간 어설프지만, 그래도 내가 본 최고의 코딩 에이전트였다”는 것이었습니다.
일주일 뒤, 인기있는 Substack 뉴스레터 Pragmatic Engineer의 저자 Gergely Orosz가 유튜브 채널 Internet of Bugs의 분석 영상을 공유하면서 논란을 키웠어요. 그 영상에서는 Devin이 보여준 게 연출된 데모에 불과하다고 지적했죠. 가짜 파일, 간단한 셸 명령어, README만 읽어도 할 수 있는 작업들이라는 거예요. 즉, 과대한 광고에 비해 실체는 부족하다는 거였죠.
의견은 즉시 갈렸어요. AI를 믿는 사람들은 Devin을 미래를 내다보게 해 주는 하나의 움직임이라고 불렀고, 전통적인 개발자들은 이건 뿌연 연기같은 것일 뿐이라고 비판하기도 했습니다.
So people are asking about a Devin run of an Upwork job. I’m the guy in the video! The primary criticism was that I didn’t transcribe the prompt verbatim, which looking back at the screenshot is accurate — I was thinking since Devin already runs inside an EC2 instance I’d try to
— Walden (@walden_yan)
11:25 PM • Apr 15, 2024

튜링 포스트 코리아의 인사이트가 담긴 컨텐츠를 마음껏 읽어보세요!
무료 구독자들께서 보실 수 있는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프리미엄 플랜으로 업그레이드하시면 튜링 포스트 코리아의 모든 컨텐츠를 제한없이 보실 수 있습니다.
프리미엄 구독자가 되어 주시면 튜링 포스트 코리아의 컨텐츠 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주간 AI 뉴스레터
AI 유니콘 기업들에 대한 심층 분석 기사
AI 기술, 산업, 정책 전문가 인터뷰
AI 기술 및 산업에 대한 심층 분석 시리즈
분석 기사 요청 및 튜링 포스트 코리아 기고
글에 대한 리뷰를 남겨주세요!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친구와 동료 분들에게도 뉴스레터 추천해 주세요.
Reply